[도박나라]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갈 것” 150만 유튜버, 상인회 주장에 반박
관리자
0
1 -
2시간전
구독자 149만 명을 보유한 유튜버 ‘이상한 과자가게’가 게재한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의 ‘바가지 요금’에 대한 폭로 영상이 연일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4일 ‘이상한 과자가게’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이러면 광장시장 다신 안 가게 될 것 같아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
해당 영상에서 그는 시장 내 일부 상인들의 불친절한 응대, 음식 재사용 의혹, 가격 눈속임 등을 지적했다. 영상 속에서 그는 8천 원으로 표시된 ‘큰순대’를 주문했지만, 상인으로부터 “고기랑 섞었으니 1만 원”이라는 말을 들었다며 바가지를 썼다고 주장했다.
이후 영상은 빠르게 퍼졌고, 상인회는 5일 채널A와의 인터뷰를 통해 “내가 (고기) 섞어드릴까 했더니 섞어달라고 했다. 먹고 나서 만원이라고 하니 나를 쥐잡듯이 잡아먹으려 했다”고 반박했다. 또한 “그럴 거면 8천 원 내라고 했고, 그러고 보냈다”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상한 과자가게는 6일 오전, 영상 댓글을 통해 상인의 주장을 하나하나 반박했다. 그는 “제가 모둠순대를 주문했다고 하셨던데, 그렇다면 모둠순대가 나와야 맞지 않나. 왜 기본 큰순대를 주셨느냐”며 “고기를 섞어드릴까 물어보셨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 저와 동행인 모두 그런 말을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또한 “결국 고기를 섞어주지도 않았다. 영상에 당시 상황이 그대로 담겨 있다”며 “계좌이체로 1만 원을 결제했고, 마지막까지 사장이 금액을 확인했다. ‘그럴 거면 8천 원만 내라’는 말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유튜버는 상인회가 “의도적인 접근 같다”는 입장을 낸 것에 대해서도 “그게 공식 입장이라면 너무 안타깝다. 특정 가게를 저격하려던 게 아니라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보여주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어 “외국인 관광객이 ‘케이푸드의 본고장’이라며 시장을 찾는데, 불친절과 바가지로 한국 이미지를 깎아먹는 건 아닌지 생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논란이 계속되자 종로구(구청장 정문헌)도 움직였다. 종로구는 6일 “광장전통시장의 상거래 질서 확립과 신뢰 회복을 위해 민관이 함께하는 개선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중 핵심은 연내 시행 예정인 ‘노점 실명제’다. 구는 지난해부터 노점 가판대 실태조사와 전문가 자문, 상인회 협의를 거쳐 이 제도를 마련했다. 또한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시장의 특성을 고려해 지난해 ‘다국어 정보무늬(QR) 메뉴시스템’을 도입, 먹거리 노점 88곳이 참여해 메뉴·사진·가격 정보를 20개 언어로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