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박나라] '케데헌' 열풍 속 홍콩에서 열리는 2025 MAMA, 국내 개최 계획은?
관리자
0
4 -
3시간전
2010년부터 K팝 시상식 최초로 해외 개최를 시작한 '2025 마마 어워즈'(2025 MAMA AWARDS) 측이 꾸준한 '국내 개최' 요구에도, '글로벌 개최' 계획을 밝혔다.
올해 30주년을 맞은 엠넷 주최 시상식 '2025 마마 어워즈' 기자간담회가 11일 오전 11시 서울 마포구 CJ ENM 탤런트 스튜디오에서 열렸다.
콘셉트는 '히어 마이 로어, 어-흥'(HEAR MY ROAR, UH-HEUNG)이다. 다양한 지역·인종·문화 속에서 자신의 모든 것을 받아들이며, 나답게 살아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외침을 뜻한다. 챕터 1 연출을 맡은 이영주 PD는 "슬로건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자유롭게 노래하고 춤추는 순간 우리 안에 피어오르는 기쁨의 에너지 '흥'을 핵심으로 해 '어흥'으로 잡았다"라고 소개했다.
이 PD는 "2025년 K팝은 그 어느 때보다도 뜨겁게 흥했고 그 중심에는 흥이 있었다. 그 흥을 가장 강렬하게 증폭할 만한 무대가 '마마 어워즈' 무대"라며 "저희가 30년 가까운 시간 동안 K팝의 어흥 포인트를 만들어 온 만큼 새로운 도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영상과 음향 질 향상에 힘쓰고 있다. 이 PD는 "엠넷플러스(앱)를 통해 최초로 4K 스트리밍 생중계를 진행하려고 한다. '마마 하우스 밴드'를 진행해서 많은 팀이 라이브 밴드 무대 선보일 예정"이라며 "흥이 폭발하는 무대를 더욱 생생한 영상과 사운드로 보여드리려고 노력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개최지를 홍콩 카이탁 스타디움으로 한 이유로, 박찬욱 CJ ENM 음악콘텐츠사업본부 컨벤션사업부장은 "홍콩에서 랜드마크로 지은 스타디움이다. 스탠딩까지 하면 5만 명까지 들어갈 수 있는 곳이고 오프닝 공연으로 콜드플레이(Coldplay)가 공연했다"라며 "일본 3대 돔(나고야·교세라·도쿄)을 찍었기 때문에 홍콩에서도 새 랜드마크 카이탁 스타디움에서 하는 것이 최초 기록을 세우는 데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한한령이 풀려 중국 시장 개방이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반영된 것인지 묻자, 박찬욱 부장은 "중화권 시장에 관한 부분이 완전히 없다고 얘기할 순 없지만, 저희가 선정한 이유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마마 어워즈'가 열린 최다 (개최) 도시라는 점이다. 전 세계 K팝 팬덤이 접근하기 좋은 위치, 아시아 대표하는 메가 이벤트 허브 같은 느낌이 있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홍콩에 새로운 랜드마크가 생겨서 그 부분에서 저희 '마마 어워즈'가 독창적인 무대나 연출, K팝의 아이코닉한 무대를 만들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이 많아서 선정하게 됐다"라고 부연했다. 아시아 최초로 아카데미(오스카)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은 양자경이 새로운 시상자로 이날 공개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