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박나라]11월30일 23:05 프리미어리그 웨스트햄 vs 리버풀 FC
관리자
0
335 -
11.28 17:45
✅ 웨스트햄
웨스트햄은 3-4-3 포메이션을 바탕으로, 강팀을 상대할 때 라인을 한 단계 더 낮추고 블록을 다지는 보수적인 경기 운영을 선호하는 팀이다.
윌슨은 중앙에서 등지고 버티는 포스트 플레이에 강점을 가진 스트라이커로, 롱볼을 받아내 세컨드볼 상황을 만들어 주고, 박스 안에서는 한두 번만 기회를 받아도 마무리를 노릴 수 있는 타입이다.
제로드 보웬은 왼발을 주로 쓰는 인버티드 윙어 성향이 강한 자원으로, 오른쪽에서 안쪽 하프스페이스로 파고들며 슈팅 각을 찾거나, 전환 상황에서 곧장 뒷공간을 향해 침투해 들어가는 움직임이 돋보인다.
마테우스 페르난데스는 중원에서 넓은 범위를 커버하면서도 전진 드리블과 패스로 라인을 끌어올리는 타입의 미드필더로, 압박을 한 번 벗겨낸 뒤 전방으로 볼을 운반하는 데 능한 자원이다.
그래서 웨스트햄은 수비 블록을 낮게 두더라도, 페르난데스가 첫 탈압박을 책임지고, 곧바로 보웬 쪽으로 방향 전환 패스를 연결하면서 역습 상황에서 위협적인 장면을 꾸준히 만든다.
홈에서 강팀을 상대할 때는, 굳이 라인을 올려 맞불을 놓기보다는, 세컨드볼 싸움과 세트피스를 중심으로 천천히 리듬을 가져가며 ‘지지 않는 경기’를 먼저 설계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번 리버풀전에서도 웨스트햄은 승점 3점을 강하게 밀어붙이기보다는, 라인을 내리고 파울과 느린 전개로 템포를 끊어 주며, 역습과 세트피스로 승점 1점 이상을 노리는 계산된 플랜을 들고 나올 가능성이 크다.
결국 웨스트햄의 포인트는, 박스 앞에서는 블록을 단단히 유지하면서도, 기회가 왔을 때 보웬과 윌슨의 뒷공간 침투를 통해 리버풀의 허술한 전환 수비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찌르느냐다.
✅ 리버풀
리버풀은 4-2-3-1 포메이션을 베이스로, 높은 라인과 전방 압박, 그리고 빠른 볼 순환을 통해 상대를 자기 진영에 묶어 두려는 스타일을 유지하고 있다.
에키티케는 라인 사이에서 공을 받기보다는 수비 뒷공간을 노리며 뛰어드는 움직임에 강점이 있는 센터포워드로, 수비수 시야의 사각지대에 숨어 있다가 한 번에 침투해 들어가는 타이밍 감각이 좋다.
모하메드 살라는 오른쪽에서 안쪽으로 좁혀 들어오는 인사이드 포워드로, 하프스페이스에서 왼발 슈팅 각을 만드는 데 능하고, 박스 근처에서의 짧은 원투 패스로도 수비 라인을 깨는 장면을 자주 연출한다.
맥 앨리스터는 중앙에서 템포를 조절하고, 수비 라인 앞에서 전개 축을 담당하는 미드필더로,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도 짧은 패스로 탈압박을 시도하며 라인 사이 공간으로 공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는다.
그래서 리버풀은 전형적으로 ‘점유율은 잡고, 상대를 진영 깊숙이 몰아넣는’ 경기 그림을 만들지만, 수비 전환에서 라인이 너무 높게 형성되면 뒷공간이 크게 열리는 구조적인 위험도 함께 안고 있다.
특히 최근 경기들에서는 노팅엄을 상대로도 주도권은 가져왔지만, 역습과 전환 상황에서 라인 간격이 무너지며 대량 실점을 허용한 장면이 나오는 등, 전환 수비의 허술함이 노출된 바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아인트호벤과의 챔피언스리그 일정까지 소화하면서 주축 선수들의 출전 시간이 상당히 누적된 상황이라, 이번 원정에서는 전방 압박 강도와 수비 복귀 속도가 평소만큼 날카롭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결국 리버풀은 공격에서는 여전히 위협적이지만, 체력 부담과 전환 수비의 불안이라는 이중 과제를 안고 웨스트햄 원정을 치러야 하는 구조다.
✅ 프리뷰
이 경기는 내려앉는 3-4-3 웨스트햄과, 높은 라인과 점유 기반 4-2-3-1 리버풀의 맞대결이라는 점에서, 전형적인 ‘블록 vs 점유’ 구도가 그려진다.
웨스트햄 입장에서는, 리버풀의 전방 퀄리티를 감안하면 과감하게 라인을 올려 압박하기보다는, 수비 라인을 내려 블록을 단단히 유지한 뒤 역습과 세트피스로 맞불을 놓는 편이 훨씬 현실적인 선택이다.
특히 체력적으로는 리버풀이 챔피언스리그 일정까지 소화하면서 분명한 피로 누적이 있는 상황이라, 웨스트햄은 굳이 템포를 끌어올리지 않고 루즈한 경기 흐름을 유도하며 상대의 체력을 더 깎아내리는 운영을 가져갈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웨스트햄은 초반부터 파울과 터치라인 플레이, 세컨드볼 경합을 늘려 리듬을 끊어 내고, 페르난데스가 탈압박 이후 보웬 쪽으로 방향 전환 패스를 넣어 주는 전형적인 역습 패턴을 노릴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리버풀은 살라와 에키티케를 중심으로 전방에서 계속 움직임을 가져가며, 맥 앨리스터가 하프라인 근처에서 템포를 조절하고 좌우로 패스를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웨스트햄 블록을 두드릴 것이다.
하지만 리버풀의 약점은 여전히 역습 대응이다 보니, 웨스트햄이 라인을 과도하게 올리지 않는 이상, 오히려 리버풀이 일방적으로 몰아붙이는 것처럼 보여도 뒷공간에서 위기가 동시에 열리는 장면이 반복될 수 있다.
웨스트햄은 강팀 리버풀을 상대로 승점 3점까지 욕심내기보다는, 홈에서 승점 1점만 챙겨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상황이라, 굳이 승부를 일찍 터뜨리기보다는 스코어를 촘촘하게 묶어 두려는 심리가 강하게 작용할 것이다.
그래서 이 경기는 한쪽이 크게 벌려 나가는 오픈 게임보다는, 전반에는 탐색전과 세트피스 위주의 찬스 몇 번, 후반에는 체력 싸움 속에서 서로 한두 번씩 결정적인 장면을 주고받는 흐름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
리버풀이 기술적으로는 분명 우위에 있지만, 체력 부담과 전환 수비의 허술함 때문에, 끝까지 라인을 올려 무리하게 승리를 가져오려 하기보다 어느 순간에는 리스크를 관리하는 선택을 할 여지도 있다.
웨스트햄 역시 리버풀의 화력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선제골을 넣더라도 라인을 올려 추가 골을 노리기보다는, 오히려 더 뒤로 물러나 블록을 다지는 쪽을 선택할 확률이 크다.
그렇지만 리버풀 입장에서 승점 0점은 치명적이기 때문에, 경기 막판까지 최소한 동점 골을 노리는 공세는 이어질 것이고, 그 과정에서 세컨드볼 한 번, 세트피스 한 번이 다시 스코어를 맞추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결국 전체적인 그림을 보면, 웨스트햄의 보수적인 경기 운영과 리버풀의 체력 저하, 그리고 전환 수비의 불안이 맞물리면서, 어느 한쪽이 안정적으로 두 골 차 이상 달아나기보다는, 스코어가 엇갈리다가 다시 균형을 찾는 흐름이 유력하다.
때문에 이 매치는 리버풀이 점유율과 슈팅 숫자에서는 앞서더라도, 웨스트햄의 역습과 수비 집중력이 버티는 사이, 승패가 갈리지 않고 스코어가 맞춰지는 무승부 가능성을 충분히 열어 두고 보는 편이 합리적이다.
✅ 핵심 포인트
⭕ 웨스트햄은 3-4-3 기반의 낮은 블록과 역습, 세트피스를 앞세워 ‘지지 않는 경기’를 설계할 가능성이 크고, 승점 1점만으로도 만족할 수 있는 상황이다.
⭕ 리버풀은 여전히 공격 전개와 전방 퀄리티에서는 강점을 보이지만, 최근 경기에서 드러난 역습 대응력 부족과 챔피언스리그 일정으로 인한 체력 누적이 수비 전환의 가장 큰 리스크다.
⭕ 경기 운영 측면에서 웨스트햄은 템포를 늦추고, 리버풀은 체력을 관리해야 하는 입장이라, 스코어가 크게 벌어지기보다는 한두 골씩 주고받으며 균형이 맞춰질 가능성이 높은 매치업이다.
⚠️ 강팀 리버풀의 공세와 홈 웨스트햄의 보수적인 운영, 양쪽 모두 리스크 관리에 무게를 두는 흐름을 감안하면, 이 경기는 어느 한쪽으로 완전히 기울기보다는 승부가 갈리지 않는 무승부 시나리오에 무게가 실리는 한 판이다.
✅ 승부 예측 / 베팅 강도
[승/무/패] 무승부 ⭐⭐⭐⭐ [강추]
[핸디] 핸디 승 ⭐⭐⭐ [추천]
[언더오버] 언더 ⭐⭐⭐ [추천]
✅ 마무리 코멘트
웨스트햄은 홈에서 라인을 내리고 수비 블록을 다지는 동시에, 보웬과 윌슨, 페르난데스의 전환 플레이를 활용해 최소한의 찬스로 효율을 노리는 현실적인 승부를 준비할 것이다.
리버풀은 살라와 에키티케, 맥 앨리스터를 앞세워 주도권을 쥐겠지만, 빡빡한 일정으로 인한 체력 부담과 역습 수비의 불안 때문에, 끝까지 라인을 무리하게 올리기는 어려운 입장이다.
전술적인 구조와 심리, 체력 상황까지 모두 감안하면, 이 경기는 양쪽 모두 완전히 무너지는 쪽 없이 서로 한 번씩 흐름을 가져가다가, 결국 스코어를 나눠 가지는 무승부 가능성을 가장 먼저 고려해 볼 만한 매치업이다.
[도박나라 베스트픽]: 언더